목록분류 전체보기 (105)
Front-End

객체란 무엇인가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원시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함수, 배열, 정규 표현식 등) 모두 객체다. 원시 타입은 단 하나의 값만 나타내지만, 객체 타입은 다양한 타입의 값(원시 값 또는 다른 객체)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다.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고 객체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이 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이므로 값으로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함수도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타입 변환이 뭔가유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타입이 있다. 값의 타입은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 or 타입 캐스팅이라고 한다. var x = 10; //명시적 타입 변환 //숫자를 문자열로 타입 캐스팅한다. var str = x.toString();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 x 변수의 값이 변경된 것은 아니다. console.log(typeof x, x); // number 10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변환되기도 한다. 이를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이라 한다. var ..

제어문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조건문)하거나 반복 실행(반복문)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코드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제어문을 사용하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코드의 실행 순서가 변경된다는 것은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직관적인 코드의 흐름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따라서 제어문은 코드의 흐름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어 가독성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가독성이 좋지 않은 코드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제어문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코딩 스킬에 많은 영향을 준다 그러니 잘 이해해보자!!!! 1. 블록문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으로, 코드 블록 또는 블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블록문을 하나의 실행 단위로..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 한다.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산술 연산자 5 * 4 // 20 //문자열 연결 연산자 'My name is' + 'Lee' // 'My name is Lee' //할당 연산자 color = 'red' // red //비교 연산자 3 > 5 // false //논리 연산자 true && false // false //타입 연산자 typeof 'Hi' //string 피연산자가 "값"이라는 명사의 역할을 한다면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연산하..

자바스크립트(ES6)는 7개의 데이터타입(줄여서 타입이라고 함)을 제공한다. 구분 데이터 타입 설명 원시타입 숫자 타입 숫자.정수와 실수 구분 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문자열 타입 문자열 불리언 타입 논리적 참(true)과 거짓(false) undefined 타입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암묵적으로 할당되는 값 null 타입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하는 값 심벌타입 ES6에서 추가된 7번째 타입 객체타입 객체, 함수, 배열 등 1. 원시타입의 숫자 타입 C나 자바의 경우, 정수(소수점 이하가 없는 숫자)와 실수(소수점 이하가 있는 숫자)를 구분해서 int, long, float, double등과 같은 다양한 숫자 타입을 제공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독특하게 하나의 숫자 타입만..

값이 뭔지 아십니까! 뭔가 대충 뭔지 알긴하겠지만, 막상 말로 설명하려 하니 어렵다.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값 값은 식(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10 + 20; // 30 //10 + 20 은 평가되어 숫자 값 30을 생성한다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고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따라서 변수에 할당 되는 것은 값이다. var sum = 10 + 20; // 30 //변수에는 10+20 이 평가되어 생성된 숫자 값 30이 할당된다. 위 예제 ..

변수란 무엇인가 ? 왜 필요한가 ?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을 말한다. 말하자면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값을 저장하고 참조하는 메커니즘으로,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이다. //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var userId = 1; var userName = 'Lee'; //객체나 배열 같은 자료구조를 사용하면 여러 값을 하나로 그룹화 해서 하나의 값처럼 사용할 수있다. var user = { id : 1, name : 'Lee' }; var user = [ {id : 1, name : 'Lee'}, {id : 2, name : 'Kim'} ];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할 수 있는 ..

자바스크립트란 웹페이지의 보조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를 도입하여, 탄생한 것이 바로 '브렌던 아이크'가 개발한 자바스크립트이다.(1996.03) #렌더링 HTML, CSS,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문서를 해석해서 브라우저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때로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HTML로 변환해서 브라우저에 전달하는과정(SSR : Sever Side Rendering)을 가르키기도 한다. 브라우저가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로드하고 파싱해서 렌더링하는 과정 ->추후 자세히 다시 언급예정 Ajax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서버와 브라우저가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수있는 통신기능이다. 웹페이지에서 원래는 html 태그로 시작해서 html 태그로 끝..
문제설명 자연수 N이 주어지면, N의 각 자릿수의 합을 구해서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만들어 주세요. 예를들어 N = 123이면 1 + 2 + 3 = 6을 return 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N의 범위 : 100,000,000 이하의 자연수 예시 N answer 123 6 987 24 문제 분석 for문을 이용해서 i++로 lenght 길이 순서대로 더하는 방법을 써야할듯함. answer+= 로 값을 더하고 더해주는 식으로 해야함 처음에 length로 간단하게 length의 순서대로 값을 더해주란 식으로 했으나 오류가 나서 찾아보니 length가 숫자형을 지원하지않아서 숫자를 문자열로 바꿔서 length를 사용해야 한다고한다. function solution(n){ var answer ..
문제설명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s는 길이 1이상, 길이 8이하인 문자열 입니다. s는 영문 알파벤 대소문자 또는 0부터 9까지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시 s return "a234" false "1234" true 문제분석 문자 중 숫자인지 확인하는 함수가 있는지 알아봐야함. inNaN() 함수는 주어진 값이 숫자인지 또는 잘못된숫자인지를 판별해서 줌. 그러나 숫자가 아니면 true, 맞으면 false로 인식한다. parseInt() 주어진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한값을 리턴해주는데, 정수로 변환할 수 없으면 N..